-
중국사 암기법 5
-
- 정아현
- 2014-12-05
- 조회수 690
1. 유익한 유머로 중국사
빨리 익히기
*홍적세-신생대 제4기
전기, 인류가 처음으로 출현
인류는 홍익인간의 이념을 가지고 이 땅에 태어났다.
신생아(인류)가 사(4)지를 흔들며 신생대에 탄생.
*북경원인-제4기 홍적세
초기에 등장
북경에서 홍위병들이 사(4)람을 죽이고 다녔다.
*북경 주구점에서 발견된
북경원인
북경에서 권력의 주구들이 다퉜다.
*최초의 인류,
원모인-운남성에서 발견
운이 남아서 또 나왔다(발견).
*원모 분지-앞니 화석
발견
원인 모르게 앞니 하나가 빠졌다.
*섬서
남전인(직립인)
섬에서 서서 다닌다. 직립.
남자들은 전부 서서 다닌다. 직립.
*아모구 유적-중석기
문화
중은 아, 모르는 구절이 없어. 불경을 좔좔 왼다.
*하남 배이강 문화-신석기
문화
하, 남들은 배타고 이강에서 신나게 노는데....
*언사 이리두
유적
언제 사냐? 이리도(이리두) 애타게 만들어. 살려면 빨리 사.
*하남성 서부에서 이리두
문화 발견
하, 남들은 이리도(이리두) 잘사는데....
2. 빨리 기억해서 남는
시간을 다른 것에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이리두-상문화 전기의
유적지
이리도(이리두) 장사(상)가 안 될까!
전에는 잘 됐는데.
*이리두 문화 유적에서
술잔 발견
술잔 이리 돌려!
*황하 중류지역의
앙소문화
황천 보낸다니까 앙앙 소리내어 운다.
*자산 문화 유적
출토-식량저장용 구덩이, 돼지 개 사육
식량, 돼지, 개는 우리의 자산이다.
*앙소문화-홍도가
특색
앙앙 소리내어 ♪홍도야 울지마라~
*반파문화로 대표되는
앙소문화-서안에서 발굴
집이
반파, 앙앙 소리내어 운다, 서로 안부를 물으며.
*감숙의 앙소
문화
감축(감숙)하니까 앙앙 소리내어 운다.
*앙소문화는 속粟을
주식으로 했다
속을 태워서 앙앙 소리내어 운다.
*양자강 하류의 하모도
문화-신석기문화
양자강에서 하모(횟감)가 많이 잡힌다.
양자가 하모 샀다.
하모먹고 신났다.
*절강성 여요현-하모도
문화 발굴
하모맛에 절로 감탄! 여름철 요리 하모!
3.
*하모도 문화-쌀
재배
하모만 먹고 살 수 없다. 쌀이 있어야 먹고산다. 하모, 암! 그렇고 말고.
하모 먹고,
쌀 먹고.
*하모도 문화-뼈로 만든
보습 발굴
하모 먹을
때
뼈를 발라낸다.
*대문구 문화(신석기
문화)-산동에서 발견
대 문구(큰 글귀)를 신동(산동)이 썻다.
대문 구석에 신장이 있다.
대문 구석에 숨어있다가 산동네로 피신.
*대문구 문화-회도,
백도, 흑도, 채도 발굴 (색깔 있는 도자기)
대문의 색깔이 다양.
*대문구 문화-묘지의
부장품에서 빈부의 격차가 심한 것을 보임
부잣집의
대문은 높다(빈부 격차).
*대문구 용산 문화-정鼎,
칼 출토, 견갑골 점이 행해짐
대문 앞에 정을 설치, 불을 피운다.
대문 구석에 칼을 보관. 적이 오면 즉시 대응.
대문에 부적(점)을 붙인다.
*산동 용산 문화(신석기
문화)
산동네 용산, 신개발.
신용산.
*묘저구 제2기 문화-용산
문화의 발전 형태
용산의 묘지를 이(2)장하고 공원으로 만든다. (우리나라
얘기)
*용산문화-흑도가
특색
용산의 미군 흑인병사.
*사천성에서 코끼리 상아,
옥기 등 출토
코끼리 상아목걸이가 사천원.
4. 연상은 강렬하고
특이할수록 더 잘 기억된다
[3황
5제]
*수인씨-불을 피우고
고기를 익혀 먹는 법을 가르쳤다
익혀 먹고 수인성전염병 예방.
*복희씨와 여와는
오누이였고, 결혼하여 인류를 낳음
결혼.
여복이 많군!
*복희씨-그물 만드는 법,
사냥하는 법을 가르쳤다
그물을 복잡하게 촘촘히 짰다.
*복희씨-팔괘
창시
팔괘로 점치니 복받을 상.
*여와씨-인간
창조
여호와(여와) 하나님이 인간 창조.
*반고-최초의
인간
반
고생 하는 인간.
*신농씨-약초를 찾아
냄
농이 나오면 약초를 바른다.
*유소씨-나무로 집을
만듬
유서(유소)깊은 집.
*황제黃帝가 거느린
종족
황제가 종처럼 부린다.
*염제(신농씨)가 거느린
강족
염ㅂ할 노ㅁ이 강제로 성추행.
염소치고 농사짓고.
*중국 한족의
원류-화하족
한민족끼리 하하(화하) 웃으세요.
*중국인은 염황의 자손임을
자부
중국인은 염라대황의 자손이다. 헐~
5.
*황제-지남차 활용, 의복
. 배 . 수레 발명
화려한
황제 복장(의복)을 하고 위용을 부리며 마차(지남차) 배 . 수레를 타고 간다.
황제 만세!
만만세!!
*창힐-문자
발명
“어려운 한자를 만들고
창피하지도 않아?”
힐문하는 세종대왕.
*황제의
부인-누조(유조)
황제의 부인은 누워서 조는 게 일. (ㅂ에 뭐하고?)
황제의 부인은 유조선 업계의 딸. (재벌의 딸)
*황제의
성-공손→희
황제가 공손해? 어울리지 않아, 바꿔!
황제의 성은 희소성이 있어야 한다.
*황제-판천에서 신농씨의
후예를 격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