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공무원협동조합

관련사이트이동

퇴직공무원협동조합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이웃과 나눔을 실천하는

퇴직공무원협동조합

칭기즈 칸의 나라, 몽골을 가다(2)
  • 구항오
  • 2019-08-07
  • 조회수 660

 

- 회원들이 패기 있게 초원에서 출발 준비를 하고 있다.

지난밤 강한 바람이 몰아쳐 게르 시설물 일부가 날아가고, 간간이 비는 뿌렸지만 시원한 빗줄기는 아니었다. 초원의 해맑은 아침 햇살을 받으며 우리나라 60년대 화장실로 향했다. 어제 승마 연습으로 뻐근함이 남아 있는데, 다수 여자 회원들의 강력 주장으로 초원을 2시간 정도 걸었다. 어제보다는 말고삐가 부드러웠으나 엉덩이가 쓰렸다.

 

선사시대 주목할 만한 역사를 가진 몽골은 BC 3세기부터 1세기까지 중앙아시아에 살았던 훈족으로 단일 몽골 봉건국가는 13세기 초에 유목 종족들이 모여 형성되었다. 국가의 지도자, 칭기즈 칸과 그의 후계자들은 중국 및 러시아, 중앙 아시아 대부분을 포함하는 거대 제국을 통치했다.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1691~1921년 중국,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으나 주로 중국인의 지배를 받았다.

 

현대 민족적 영웅인 담디니 쑤흐바타르는 1917년 러시아의 10월 혁명에서 큰 영향을 받았고, 구소련의 지원을 받아 백러시아인과 중국인들을 몰아냈다. 1921년에 중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1980년대 말까지 구소련과 밀접한 유대관계를 유지했다. 구소련으로부터 기술적·경제적·군사적 지원을 받았고, 정치·문화적 문제들에 대해 구소련의 지도를 따랐다 

 

 

- 황성덕(오른쪽 세 번쨰) 씨 등 회원들이 칭기즈 칸 동상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정오 가까이에 청진볼덕의 칭기즈 칸 동상을 방문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기마상이라 자랑하고 몽골 여정의 필수코스라고 한다. 여러 여행 상품을 포함한 대부분의 시설물이 칭기즈 칸과 연계를 하여 칭기즈 칸은 과연 몽골의 영원한 영웅이라 느껴졌다. 많은 관광객이 북적였다.

 

우리 말을 잘 구사하는 오양카(35) 가이드는“1940년대에 전통 몽골 문자를 러시아 알파벳 키릴 문자에 새로운 문자로 교체한 것은 문화 및 사회 변화에 있어서 대단히 상징적입니다. 1990~92년에 공산당 권력의 독점에서 새로운 헌법, 문화·종교적 자유로 옮겨갔습니다. 몽골의 민족성을 강조하고 학교에서는 전통 문자를 교육했고, 상점 간판에서 키릴 문자와 전통 문자를 표기했습니다.

 

북부 알타이산맥은 가장 길고 높은 산맥으로, 빙하로 뒤덮인 산도 있습니다. 한가이산맥, 헨틴산맥은 울란바토르 북동쪽에 있으며 북서부 지역의 아름다운 대호수 지역에는 300개가 넘는 호수가 있습니다. 국토의 약 3분의 1은 나무가 없는 반건조 지대인 고비 사막으로 덮여 있습니다. 북부 삼림에는 스라소니·큰뿔사슴·흰표범·멧돼지·담비 등이 서식하고 반사막 지역에는 낙타·야생양·곰 등이 삽니다고 열심히 해설해 주었다.

 

 

  - 윤주명(왼쪽 두 번째) 씨 등이 현대식 게르의 라운지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오후에는 테를지 국립공원 안에 있는 거북바위 등을 관람하고 각자의 소원을 빌기도 했다. 공원 안에 있는 현대식 호텔로 변형된 게르에서 여장을 풀고 라운지에서 여유롭게 넓은 초원을 감상하고 레스토랑에서 저녁 식사를 하였다. 노래방 코스에서 흥을 돋운 후, 몽골 밤하늘의 밝은 별빛과 함께 침실로 들어갔다.

 

2018년 인구수는 3121,772, 인구밀도는 2/이며 15세 이하가 전체인구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수도에 인구의 절반이 살고, 정부는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기 때문에 인구의 대부분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공용어는 할하몽골어로 국민의 약 80%가 사용하고. 전통적 종교였던 티벳트 불교(라마교)는 공산당 집권하에서 심한 탄압을 받았으나 1990년 이후 되살아나고 있다. 라마교가 53%, 이슬람교가 4%의 분포를 이룬다.

 

2016년 말 기준 1인당 소득은 약 3,660달러이다. 주요 지하자원은 석탄, , 아연, , 석유 등이며, 세계 10대 자원 부국에 속한다. 제조업이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본재와 소비재는 대부분 수입하며, 주요 교역 상대국은 러시아이다. 울란바토르와 다르한을 잇는 도로와 일부 도로는 포장되어 있지만 지방도로는 대부분 비포장 흙길이다. 울란바토르는 모스크바 및 베이징과 철도로 이어져 있고 국제공항이 있다.